서브본문
대구여행뉴스
대구의 오래된 이야기, 400년 전 경상감영 풍속 재연
작성자 admin 등록일 2014-06-16 조회수 319
이메일 ****@****.***
대구의 오래된 이야기, 400년 전 경상감영 풍속 재연
- 6월, 9 ~ 10월, 매주 토요일 13:30 ~ 16:00 / 경상감영공원 일원 -
대구시는 조선시대 영남지역의 정치․경제․군사․교통의 중심지인 대구에 설치되었던 경상감영(慶尙監營)의 풍속을 재연하는 행사를 오는 6월 7일부터 10월 말까지(7, 8월 제외, 우천 시 취소) 매주 토요일 오후(13:30 ~ 16:00) 중구 경상감영공원 일원에서 개최한다.
경상감영(慶尙監營)은 조선시대 경상도를 관할하던 감영(監營)으로지금의 도청(道廳)과 같은 역할을 담당했으며, 선조 34년(1601년) 대구로 이전되어 1910년까지 영남권 중심 감영기능을 담당하였다.
경상감영 풍속재연 행사는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지고 정치·문화의 중심지였던 대구의 역사·문화를 대내외에 알리는 지역의 고유한 관광 상품으로 개발한 연중 상설 전통문화 재연행사로 2006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주요행사로는 감영 안팎을 순찰하는 순라군 활동, 감영 정문 군사들의 근무를 교대하는 수문병 교대의식, 시각을 알리는 타종 경점시보 의식, 용맹한 군사들의 무예 시범인 교열의식과 각종 민속공연 등으로 관광객과 시민들에게 색다른 볼거리와 조선 시대 생활을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행사장 곳곳에는 형틀체험, 가마타기, 민속놀이기구 체험·민속 의상 입어보기 등 각종 민속 체험 행사가 마련되며, 특별행사로 6월 7일(토)에는 청소년접빈다례겨루기대회, 9월에는 전통혼례, 10월에는 청소년 과거제 등 다양한 볼거리, 즐길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조선시대 형벌도구 체험
전통무예 시범
전통민속공연
무엇보다 금년 6월 한 달 동안은 세월호 여객선 사고 희생자들의 명복을 기원하기 위하여 경점시보의식과 전통민속 공연을 희생자 추모 타종행사, 추모음악, 살풀이 무용 등으로 진행한다.
대구시 이수동 관광문화재과장은 “대구만의 특색 있는 관광문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여 시민 자긍심을 높이고, 도시 브랜드 가치를 상승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라며 “특히 생일, 기념일 등 의미가 있는 날을 기념할 개인이나 단체는 타종행사인 경점시보의식(오후 2시, 오후 3시)에 참가하면 특별한 추억을 남길 수 있을 것”이라며 시민들의 많은 참여를 당부했다.
경점시보의식 참가신청은 홈페이지(www.daegutravel.or.kr)와 현장에서 신청하면 된다.
※ 경상감영공원 : 조선시대 경상감영의 소재지에 조성된 공원.. 안동에 있던 경상감영이 대구로 옮겨지면서 선조 34년(1601)에 건립됐으나 세 차례 불이 나면서 순조 7년(1807)에 재건됐다. 경상감사의 집무실인 선화당(대구시 유형문화재 제1호)과 감사의 처소인 징청각(대구시 유형문화제 제2호) 등이 남아 있다. 이 부지는 1910~1965년까지 경상북도 청사로 사용되다가 도청이 옮겨간 후 1970년 공원조성을 마치고 "중앙공원"이란 명칭으로 개장하였습니다. 공원 내에는 통일을 기원하는 "통일의 종"이 있으며, 1997년 "경상감영공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위치 : 중구 경상감영길 99. 연락처 : 053)254-9404)
6. 7.(토) 시간별 행사 진행계획
시 간 |
행 사 명 |
장 소 |
비 고 |
13:30 ~14:30 |
청소년접빈다례 겨루기 |
선화당 ① |
특별행사 (관내 청소년 40명, 성인 10명 참여) |
13:30 ~14:00 |
순라활동 |
공원 일대 |
특별행사 시 (13:30~14:30) |
14:00 ~14:05 |
경점시보의식 |
종각 ③ |
시민/관광객 위주 행사 (2차 타종 15:00) |
14:05 ~16:00 |
민속연희, 교열의식 |
광장 ② |
공연및무예시범, 체험행사 (투호,고리던지기,활쏘기,창찌르기) |
14:05 ~15:30 |
수문장교대의식 |
선화당 ① |
30분 단위 교대 |
14:05 ~15:30 |
죄인재판상황극 |
감영입구 ⑥ ⑧ |
가마타기 가마꾼 병행 |
13:30 ~16:00 |
체험행사 |
공원 내 ④ ⑤ ⑦ ⑧ |
의상 및 민속놀이, 만들기 페이스페인팅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