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도로보는미용업소
지도로보는미용업소

서브이미지

서브본문

미용업계관련뉴스

대구, 광역권 뷰티산업 인프라 연계로 미래 신산업 이끈다 - 경북매일

작성자 뷰티투어 등록일 2021-12-27 조회수 62

이메일 posthan@korea.kr

첨부파일

btks.JPG (64403 bytes)




출처 : 위 사진을 클릭하시면 경북매일 기사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대구시가 대구·경북 뷰티산업 인프라 및 지원기관 연계를 통한 광역권 화장품산업 인프라 연계 밸류체인 구축으로 뷰티 신산업을 선도한다.


뷰티산업은 코로나19 악재에도 불구하고 흑자전환에 성공한 2014년 이후 2020년 처음으로 화장품 무역흑자는 7조 원을 돌파하며 한국의 수출 주력품목으로 도약하고 있다. 뷰티산업은 화장품 산업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뷰티 디바이스의 발달과 IT, BT 등 첨단 산업과 결합하면서 2014년 18억7천357만 달러 수출에서 2020년 75억7천517만 달러 수출을 기록하는 등 연평균 26.2%의 고속 성장하고 있다.


□ 대구 뷰티산업 성장세 뚜렷


대구 뷰티산업은 규모 면에서는 전국대비 작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사업체 수 증가율은 2017년 172개 사에서 2020년 537개 사로 전국 평균(29.8%) 이상인 41.8%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수출액도 코로나19 상황에도 불구하고 2020년 수출 증가율이 전년대비 50.6% 증가했고 수출액도 2017년 1천560만 달러에서 2020년 2천740만 달러로 증가하는 등 평균 증가율(33.9%)이 전국 평균 증가율(15.8%)을 웃돌고 있다.


지역은 화장품 임상평가 장비 및 뷰티디바이스 등 융·복합 뷰티제품 개발 지원 인프라를 보유해 융·복합으로 산업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뷰티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여건이 마련되어 있다. (재)대구TP(한방뷰티융합센터) 내에 피부탄력도 측정기 등 17종 17대 구축,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기술개발 및 인증), 경북대 3D융합기술지원센터(시제품), (재)경북IT융합산업기술원(신뢰성 및 설계) 등 우수한 지원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인접한 경북 경산에 구축된 CGMP시설과 구축 중인 화장품 특화단지와의 연계를 추진한다면 광역권 뷰티산업 지원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다.


또 뷰티 제조업(전국 2.3%, 전국 6위)보다 상대적으로 전국 비중이 큰 뷰티 서비스(전국 5.8%) 및 연관산업(전국 6.0%)과의 연계를 통해 뷰티산업 동반 발전 가능성이 크며, 2019년 비수도권 최초로 외국인 환자 3만명 시대를 달성한 의료관광 부문과 연계한 프로그램 개발·운영으로 뷰티산업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출처 : 경북매일(http://www.kbmaeil.com)